관심사/화학5 고무, 플라스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의 차이점? 1. 고무와 플라스틱의 차이? 플라스틱은 구부렸다 놓으면 약간의 회복은 되기도 하지만 완전하게는 되돌아가지 않는다. 그러나, 고무는 힘을 가했다 놓는 순간 원래 모양으로 돌아간다. 이렇게 변형이 거의 순간적으로 원상 복귀되는 성질을 전문적으로 반발 탄성률 이라고 하며, 고무에는 이 성질이 있다. 2. 고무는 어떻게 반발 탄성률을 갖게 될까? 우리가 사용하는 고무의 탄성은 고무 원료의 원래 특성이 아니다. 생고무는 츄잉검 같은 느낌으로 탄성력은 없다. 생고무는 우리가 아는 고무라기 보다는 점토에 가깝다. 생고무를 가열하여 유황과 반응시켜야 탄성력이 나타난다. 이 과정을 황을 첨가한다고 하여 '가황' 이라고 한다. 고무는 가황 공정에 의하여 탄성력 뿐만 아니라 내용제성과 녹지 않는 성질이 생긴다. 유황량을 .. 2022. 10. 28. 탄성중합체(Elastomer)에 대해 아십니까? 탄성을 가진 말랑말랑한 물체를우리는 통칭 '고무' 라고 부르지만, 면밀히 따져보면 고무 (Rubber)는 자연적인 천연 고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우리가 통상 고무라고 부르는 탄성을 가진 물질을 통틀어 '탄성중합체 (Elastomer)' 라고 합니다. 탄성중합체는 Elastic (탄성이 있는) 과 polymer (중합체) 의 합성어로 일반적으로 고무라는 단어와 동일한 뜻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사실은 고무뿐만 아니라 탄소, 수소, 산소, 그리고 실리콘 등으로 구성된 탄성이 있는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탄성 중합체의 종류 1. SBR 고무 - 일반적인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고무로 신발, 타이어 등에 사용 2. BR 합성 고무 - 탄성이 우수하고 발열이 적어 타이어에 많이 사용 3. HBR 고.. 2022. 10. 25. “안 쓰이는 곳이 없다”…일상을 편리하게 만드는 신소재 ‘TPE’ 출처> 파이낸셜 신문 2020. 3. 26.기사 요약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hermo Plastic Elastomer, TPE) 정의 : 고무의 탄성과 플라스틱의 열가소성을 동시에 갖춘 고기능성 친환경 소재 장점 : 복원력과 충격 흡수 등의 물성과 가공성, 경량성이 우수 높은 온도에서 변형이 쉬워 재활용이 용이 TPE의 종류 및 물성 열가소성 가교 엘라스토머 (TPV, Thermo Plastic Vulcanizate) -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 올레핀 계열 기초물질 결합한 소재 - 탄성, 내후성, 내열성 우수 - TPE 중 가장 비중이 낮아 경량화, 착색 가능 - 웨더스트립 등 자동차 부품에 주로 사용 - 대표기업 : 화승소재 - 비중을 낮춘 발포 T.. 2022. 10. 25. 아크릴은 무슨 뜻일까? 투명 플라스틱으로 '아크릴' 이라는 말을 많이 쓰지만 정작 정확한 물질명은 모르고 쓰고 있어 정리해 보았다. 아크릴 아크릴산(酸)을 응고시켜 만든 플라스틱의 하나로서 비교적 손쉽게 만들 수 있고 투명도가 높고 가벼움 아크릴 토목용어사전 아크릴산이나 메타아크릴산의 유도체의 중합으로 얻어지는 물질의 총칭. 아크릴산 : 비닐포름산 카복실산과 비닐기를 포함하는 가장 간단한 불포화카복실산이다. 아세트산과 비슷한 냄새가 나는 액체이며 물과 임의의 비율로 섞인다. 중합하기 쉽고 이 화합물이 단독으로 중합하여 생기는 고분자는 물에 녹아 높은 점성도를 가진 용액이 되므로 증점제(增粘劑)로서 래커·니스·인쇄잉크 등에 사용된다. 메타크릴산 구조상으로는 α-메틸아크릴산. 아크릴산의 메틸 치환기, CH2=C(CH3)COOH 무.. 2021. 4. 11. 2차 전지 양극재 gitmind.com/app/doc/5d02048173 2021. 4.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