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납(豫納)"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한자 뜻 및 풀이
- 예(豫): 미리, 준비하다, 예상하다
- 납(納): 들이다, 내다, 받다
따라서 "예납"은 ‘미리 내다’, ‘사전에 납부하다’라는 뜻입니다. 어떤 금액이나 비용을 사전에 준비하여 지급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2. 어원 및 유래
"예(豫)"자는 본래 고대 한문에서 '미리, 예비하다'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납(納)"자는 ‘들이다’, ‘내다’, ‘받다’의 의미가 있으며, 주로 물건이나 돈을 내는 행위에 쓰입니다.
이 두 글자가 합쳐져 ‘미리 내다’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행정이나 법률, 경제 분야에서 비용을 선지급하는 관행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과거부터 여러 행정적 절차나 세금징수, 경비처리에 있어서 ‘사전에 준비된 비용을 납부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자연스럽게 정착된 표현입니다.
3. 사용 예시
- 법원에 사건을 접수할 때 송달료를 예납해야 한다.
- 세금 납부 시 중간예납 제도를 활용해 예상 세액의 일부를 미리 납부한다.
- 입찰 보증금은 계약 전에 예납하는 경우가 많다.
4. 영어 표현
- Prepayment (선불, 미리 지불하는 돈)
- Advance payment (선급금, 계약 전에 미리 지급하는 대금)
- Deposit (보증금, 일부 금액을 미리 내는 경우)
- Pre-deposit (특히 법원 비용 등에서 ‘예납금’ 개념으로 쓰임)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예납”은 ‘prepayment’ 또는 ‘advance payment’에 가장 가까운 개념입니다.
반응형